[앵커]<br />한일 정상은 다음 주 히로시마에 있는 한국인 원폭희생자 위령비를 함께 참배하기로 했죠.<br /><br />한국인 원폭 피해자는 일본인 다음으로 많지만, 오랜 시간 아픔과 차별을 견뎌왔습니다.<br /><br />원폭 피해자를 직접 만나봤습니다.<br /><br />세계를 가다 김민지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1945년 8월 원자폭탄이 떨어진 뒤 순식간에 폐허가 된 히로시마.<br /><br />현재는 평화기념공원이 들어섰고 중앙에 원폭 희생자 위령비가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걸어서 2분 가량 떨어진 곳에 5m 높이의 한국인 희생자 위령비가 보입니다.<br /><br />히로시마 시의 반대로 공원 밖에 세워졌다가 1999년에야 공원 내부로 옮겨졌습니다.<br /><br />반쯤 무너져버린 외벽과 앙상한 철골 구조가 보이는 히로시마 원폭 돔은 당시 처참했던 상황을 그대로 보여줍니다.<br /><br />군수공장이 밀집해있던 히로시마에 미군이 원폭을 떨어뜨리면서 14만 명이 숨졌고 그 중 3만 명은 한국인이었습니다.<br /><br />78년이 흘렀지만 아흔 살 박남주 할머니는 원자폭탄이 떨어지던 순간이 어제 일처럼 생생합니다.<br /><br />[박남주 / 원폭 피해자·재일동포 2세]<br />"빛이 번쩍 하더니 엄청난 연기 덩어리와 불빛이 전차를 덮쳤고 엄청난 소리로 비명을 질렀어요. 모두 다쳐 피투성이였어요."<br /> <br />원폭 투하 지점에서 1.9km 떨어진 거리에 있었는데, 엄청난 열기와 뜨겁다고 호소하던 목소리가 잊혀지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[박남주 / 원폭 피해자·재일동포 2세]<br />"집 근처 둑에 올라가보니 히로시마가 사라져 있었어요. 정말 무서웠어요. 지옥을 본 적 없지만 지옥 그 이상이었습니다."<br /><br />당시 히로시마에는 한국인들이 많았습니다.<br /><br />[박남주 / 원폭 피해자·재일동포 2세]<br />"일본인이 점점 병사로 차출되니까 한국인 강제 노동자들이 미쓰비시 조선소 등 군수 공장에서 일했고 (원폭 당시) 많이 숨졌죠."<br /><br />피폭에서 살아남은 후의 삶도 녹록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피폭을 전염병처럼 생각해 피하고 일본 국적이 아니라는 이유로 치료받기도 쉽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[권준오 / 민단 히로시마본부 원폭피해자대책특별위원회 부위원장]<br />"일본인들이 '(피폭이) 옮으니까 오지 마! 곁에 있지 마!'라고 했어요. 차별 받으니 다들 피폭 사실을 숨겼습니다."<br /><br />소외됐던 한국인 원폭 희생자들을 위해 한일 정상이 함께 위령비를 찾는다는 건 그래서 더욱 의미가 큽니다.<br /><br />[권준오]<br />"(기시다 총리가) 참배하는 것으로 사죄를 표한다고 생각합니다. (윤 대통령은) 피폭 실태를 한국의 젊은 세대에게 전해주셨으면 합니다."<br /><br />한국 대통령은 지금까지 한국인원폭희생자위령비를 참배한 적이 없고, 일본은 1999년 오부치 게이조 당시 일본 총리가 참배한 적 있습니다.<br /><br />히로시마에서 채널A뉴스 김민지입니다.<br /><br />영상취재: 박용준<br />영상편집: 이승근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ettymom@ichannela.com